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공공api xml
- 저장소 관리
- 도메인 서버
- json 에러
- 특정 포트 보기
- 도메인 웹호스팅 다를 경우
- 406호출
- 이클립스 로딩
- 저장소 개별
- 이클립스 중단
- VMware 네트워크 이상
- 페이징 처리
- centos jeus 웹서버 접근
- 특정 포트 연결 해제
- vmware 로컬 웹서버 접근
- 특정 포트 해제
- xml 에러
- local 저장소 개별 관리
- e175002
- 도메인 웹호스팅 다를 때
- 도메인 웹호스팅 다름
- 도메인 웹호스팅
- 이클립스 svn 설치
- 면접
- 저장소 개별 관리
- json xml 에러
- github
- svn e175002
- 특정 포트 확인
- xml 406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스프링 구조 (1)
LIFE & IT
스프링 동작 이해Ⅰ
스프링이 동작하면서 'root-context.xml' 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도록 하자! 프로젝트 간단 그림 1. DItest 프로젝트 구조 2. Chef.java 3. Restaurant.java 스프링의 동작 구조 그림 1.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시작되면 먼저 스프링이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을 만들게 되는데 이를 컨텍스트(Context)라고 한다. 스프링에서 ApplicationContext 라는 이름의 객체가 만들어 진다. 2. 스프링은 자신이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해야 하는 객체들에 대한 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설정이 root-context.xml 파일이다. 3. Root-context.xml에 설정되어 있는 태그의 내용을 통해서 ‘org.zerock.sample’ 패키지를 스캔(scan) 하기 ..
웹 프로그래밍/Spring Framework
2019. 5. 15. 01:50